본문 바로가기
주식 용어 정리

주식 용어 (공모주란?) 파두 청약일

by 주식으로 100억벌쥬 2023. 7.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
주백입니다. 오늘은 주식용어 공모주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용어 설명에 앞서 공모주 정보에 관한 좋은 사이트와 오늘 청약하는 파두에 대한 지난 포스팅 정보를 담아 왔습니다.
궁금하신 분은 확인하시고 용어 정리 보실게요^^

공모주 청약을 할 때 기업의 재무제표와 수요예측 결과 공모주 청약 일정 등에 관한 많은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중요한 청약 일정과, 기업의 재무제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공모주 청약 대어로 손꼽히는 '파두'의 청약일입니다. 대표 주관사 나무에 가장 많은 물량을 갖고 있으며, 파두에 대한 정보가 궁금하신 분은 상기 포스팅을 참조 바랍니다. 파두의 상장일은 8월 7일(월)입니다.

 

오늘은 주식용어(공모주)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공모주에 대하여 4가지로 요약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 공모주란 무엇인가?
2. 공모주 모집 방법은 무엇일까요?
3. 공모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4. 균등 배정방식과 비례배분 방식은 어떻게 되나요?


1. 공모주란 무엇인가?

 
공모주라는 뜻은 '공개하여 모집하는 주식'으로 기업이 자기 회사의 정보 공개하여(IPO) 주식 시장에 진출한다는 의미인 겁니다. 기업의 상장이라고도 하죠.
누구나 와서 살 수 있기에 공모라고 하게 되고, 반대되는 개념으로는 사모가 있습니다.
 
따상이라는 단어는 신규로 상장된 종목이 상장일날 청약가 대비 두배로 시초가가 형성될 수 있고, 시초가격에서 상한가 30%까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즉 첫날 공모가 2배에서 상한가(30%)가 되면 따상이라고 합니다.
여기에 그다음 날도 상한가를 기록하게 되면 따상상이라고 합니다.
 
 

2. 공모주 모집 방법은 무엇일까여?

 
구주매출신주모집으로 2 종류로 분류됩니다.
 
우선 구주매출이란 기존의 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지분 중에 일부분을 일반인들에게 공개적 매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음 신주발행은 회사가 주식을 새로 발행하여 투자금을 모으는 겁니다. 대형 프로젝트나 사업 확장을 할 때 신주발행으로 신규 자본금 확보로 투자금을 늘리는 방식입니다. 이때 신주모집을 할 때는 기존 주주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공모주 청약은 신주 모집으로 이뤄집니다.
 
 

3. 공모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 절차: 상장 예비심사 청구 → 증권신고서 제출 → 수요예측(기관) → 공모가 결정 → 청약과 납입 → 환불 → 상장과 거래 이렇게 진행됩니다.
 
기업에서 증권신고서 제출 시 희망공모가격을 적어내며, 상장 주관사와 협의하여 기업가치에 따란 적정한 공모가가 산정됩니다. 재무제표의 참고로는 PER, EV/EBITDA, PSR, PBR, EV/Capacity 등을 참조하여 정하게 됩니다.
 
 

4. 균등 배정과 비례배분 방식은 어떻게 되나요?

 
우선 비례배분 방식은 증거금을 많이 넣을수록 더 많은 주식을 배당받게 됩니다. 돈이 많은 사람이 많은 주식을 받게 되는 비판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일반투자자들의 공모주 청약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최소 공모주 물량의 50%는 균등배분방식으로 진행되도록 합니다. 투자금이 적은 사람들은 균등배분방식으로 공모주에 청약을 하는 게 낫습니다.
균등배분 방식은 최소 청약증거금을 납입한 모든 청약자가 똑같은 수의 주식을 배정받는 방식입니다. 물론 경쟁률이 치열하게 되면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이번 주백이는 에이엘티 청약 결과 단 1주도 배정받지 못했습니다 ㅠㅠ

오늘은 공모주에 대한 용어를 정리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